증권플러스 비상장 로고
로그인
증권플러스 비상장 앱을 설치하고, 비상장 주식을 거래해보세요!

공모주 일정

주관사선정
기술평가통과
심사청구
심사승인
신고서제출
수요예측
공모청약
상장
환불
배정
유의사항
  • 모든 정보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두나무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다가오는 청약 종목

청약진행중
청약예정 10
ipo empty

현재 진행중인 청약이 없어요

  • 1
  • 2
D-1304.14 예정
logo
이뮨온시아
공모가3,000 ~ 3,600원
기관경쟁률-
D-1604.17 예정
logo
쎄크매수가능
공모가13,000 ~ 15,000원
기관경쟁률-
D-2004.21 예정
logo
바이오비쥬
공모가8,000 ~ 9,100원
기관경쟁률-
D-2204.23 예정
logo
로킷헬스케어매수가능
공모가11,000 ~ 13,000원
기관경쟁률-
D-2304.24 예정
logo
원일티엔아이
공모가11,500 ~ 13,500원
기관경쟁률-
D-2304.24 예정
logo
나우로보틱스
공모가5,900 ~ 6,800원
기관경쟁률-
D-2404.25 예정
logo
오가노이드사이언스
공모가17,000 ~ 21,000원
기관경쟁률-
D-2704.28 예정
logo
달바글로벌
공모가54,500 ~ 66,300원
기관경쟁률-
D-3705.08 예정
logo
키스트론
공모가3,100 ~ 3,600원
기관경쟁률-
D-4205.13 예정
logo
인투셀매수가능
공모가12,500 ~ 17,000원
기관경쟁률-

청약 전에도 비상장 주식으로 미리 거래할 수 있어요!

지금 거래 많은 IPO 종목 TOP5

04.01 04:25 기준
  • 1
    logo
    로킷헬스케어IPO전문
    지금 매수가능11시간 전 체결
  • 2
    logo
    울트라브이IPO전문
    지금 매수가능10시간 전 체결
  • 3
    logo
    지씨지놈IPO전문
    지금 매수가능16시간 전 체결

비상장 주식일 때 미리 샀다면?

Invalid date 상장

공모가 대비

더 저렴했어요!

Created with Highcharts 11.4.7Values
비상장 가격0
확정 공모가0
상장 후 최고가0

비상장 가격은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최저가 기준이며, 상장 후 최고가는 최근 52주 내 가격 기준입니다.

이제 막 상장준비를 시작한, 눈여겨 볼 종목

04.01 04:00 기준

울트라브이

전문
25.03.26 심사청구

에스투더블유

전문
25.03.11 심사청구

지투지바이오

전문
25.02.18 심사청구

바이오앱

전문
25.02.07 심사청구

애드포러스

전문
25.01.23 심사청구

엔알비

전문
25.01.22 심사청구

그래피

전문
25.01.17 심사청구

도우인시스

전문
24.11.22 심사청구

지씨지놈

전문
25.03.26 심사승인

링크솔루션

전문
25.03.26 심사승인

아우토크립트

전문
25.03.20 심사승인

뉴키즈온

전문
25.03.20 심사승인

바이오포트코리아

전문
25.01.24 심사승인

파인원

전문
25.01.03 심사승인

케이지에이

전문
24.12.26 심사승인

디엔솔루션즈

전문
24.12.11 심사승인

에이아이코리아

전문
24.11.28 심사승인

키움제9호기업인수목적

전문
24.06.10 신고서제출

IPO, 이런게 궁금해요!

IPO 공모주 청약의 모든 것

IPO, 공모주 청약이 무슨 뜻인가요?

IPO(Initial Public Offering)는 ‘기업공개’라는 뜻으로, 비상장 기업이 코스피 또는 코스닥 상장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자사 주식이 거래되도록 하기 위해 기업의 주식 및 경영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말합니다. IPO 절차를 통해 기업이 상장하면, 투자자들은 자유롭게 주식을 사고 팔며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 공모주 청약은 IPO 절차 중에 진행되는데, 비상장 기업이 해당 주식을 팔겠다고 공모(공개모집)하면 투자자들이 주식을 사겠다고 청약하는 것을 말합니다. 청약을 진행하는 증권사의 계좌만 있으면 일반 투자자(개인)도 청약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IPO(기업공개)를 왜 하나요?

IPO 절차를 통해 상장되면, 각종 기관 및 일반 투자자들에 의해 주식이 거래되면서 자본금이 증가함에 따라 자금 조달이 용이해집니다. 해당 자금으로는 사업을 확장해 기업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주기적으로 기업의 주식 및 경영 내용을 공시(공개적으로 게시)함으로써 기업의 건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상장을 위해 진행합니다.

IPO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1. 주관사선정 기업이 IPO를 위한 각종 사항을 사전 점검하고, 성공적인 IPO를 위한 단계별 지원을 받기 위하여 대표 주관 증권사를 선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PO 시작부터 끝까지 해당 증권사와 함께 협업하며 수요예측 및 공모가 확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2. 기술평가통과) 현재 영업 실적이 미미하거나 수익성 요건을 충족하지는 못했으나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에게도 상장 기회를 주는 제도를 ‘기술특례상장’이라고 합니다. 기술평가 통과는 거래소가 지정한 전문기관의 평가를 통과했다는 뜻이며, 이후 IPO절차가 마무리되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수 있으므로 의미있는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력으로 평가받아야 하는 기업에만 해당되는 절차입니다. 3. 심사청구 기업공개(IPO)에서 가장 먼저 진행되는 절차로 비상장주식 기업이 상장에 부적격 사유는 없는지, 어떤 부분을 더 보완해야하는지 심사를 받는 절차를 말합니다. 기업이 한국거래소에 청구서를 제출하면 여러 단계의 검토를 거쳐 결과를 통보받게 되며, 통상적으로 2개월 ~ 4개월 정도의 검토 기간이 소요됩니다. 4. 심사승인 기업규모, 상장주식수 등 심사청구 과정에서 다양한 상장 요건이 충족되면 '심사 승인'을 받게되며, 기업은 상장예정주식수, 희망공모가, 공모금액 등이 포함된 증권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합니다. 5. 신고서제출 심사 승인 후에 기업은 기업현황 및 재무제표, 상장예정주식수, 희망공모가, 공모금액 등 자료가 포함된 증권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합니다. 신고서 제출 이후에는 기관 투자자가 해당 기업의 주식을 얼마나 원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수요예측기간을 거쳐 공모가를 확정받게 됩니다. 6. 수요예측 공모청약에 앞서 기관 투자자가 해당 기업의 주식을 얼마나 원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희망가격과 수량을 받아봄으로써, 공모주 가격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고 예측하는 단계입니다. 상장을 주관하는 청약증권사들은 해당 기업의 사업성, 수익성 등을 평가하여 적정 가치의 가격을 먼저 정하게 됩니다. 이후 해당 가격을 기준으로 ‘공모가 밴드’를 정하게 되며, 기관 투자자는 이를 참고하여 희망 가격과 수량을 써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모가가 확정되며, 이후 일반 투자자(개인)는 해당 공모가로 청약을 넣을 수 있게 됩니다. 7. 공모청약 수요예측을 통해 정해진 공모가로 일반 투자자(개인)가 청약해 주식을 배정 받는 것을 말합니다. 아직 유가증권 시장의 평가를 받기 전 이기 때문에 시장에서의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상장 후 주가가 상승할 것을 기대해 많이 참여하게 됩니다. 물론 비상장 주식이라면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미리 매도/매수할 수도 있지요. 경쟁이 치열할수록 원하는 수량만큼 배정받지 못할 수도 있으며, 배정 후에도 상장 첫 날 공모가보다 주가가 하락해 손실을 보는 경우도 있으니 투자에 주의해야 합니다. 8. 배정 공모청약 참여 후, 실제 배정수량을 알 수 있는 날입니다. 9. 환불 공모청약 참여 후, 실제 배정수량에 따라 증거금 환불 또는 추가납입을 진행하는 날입니다. 10. 상장 상장 절차를 진행하며 회사의 경쟁력 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온 기업이 드디어 상장예정일을 확정받았습니다. 외부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공개 매도 하는 것으로 코스닥, 나스닥 등의 주식 시장에 처음 상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상장이 되면 증권사 어플이나, 증권플러스 어플을 통해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공모주 청약을 하고 싶은데, 공모가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확정된 공모가는 IPO 절차 중 ‘수요예측’ 단계에서 정해집니다. 기관 투자자가 기업의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를 참조하여 대표주관회사(증권사) 홈페이지에서 매입 희망가격과 수량을 제시하여 수요예측 참가 신청을 합니다. 참가 신청서에 쓰여진 희망가격과 희망수량을 토대로 기관 투자자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주식가격을 예측하게 되고, 이러한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기업과 대표주관회사(증권사)의 협의 하에 공모가격을 확정하게 됩니다.

공모주 청약에 참여할지 말지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준이 있나요?

정답은 없지만 판단에 도움이 되는 기준이 있습니다.


1. 수요예측 결과, 기관투자자들의 경쟁률이 높은가?

기관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주식을 얼마나 사고싶어 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경쟁률이 높을수록 매력적인 기업의 공모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기관 투자자의 의무보유확약비율이 높은가?

의무보유확약비율이란, 상장하는 기업의 공모주를 받는 기관 투자자들이 일정 기간동안 해당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보유하겠다고 정해두는 것을 말합니다.

상장 후 주가가 떨어질 것 같은 기업의 주식을 오랫동안 보유하고 싶은 기관 투자자는 없겠지요.

따라서 의무보유확약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기업의 주가 전망을 더 좋게 볼 수 있습니다.


3. 확정공모가가 희망공모가 범위를 상회하는가?

기업은 자사 주식의 가치를 희망 공모가로 먼저 제시하게 되는데, 수요예측 결과 확정 공모가가 높다면 기관 투자자들의 니즈(Needs)와 시장의 평가를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상장일 유통가능물량이 적은가?

유통가능물량은 곧 거래가능물량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상장 후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통 유통가능물량이 적으면 상장 당일 주가가 오르고, 많으면 주가의 오름폭이 크지 않거나 내릴 수도 있다고 봅니다.


기관경쟁률, 의무보유확약비율, 확정공모가/희망공모가, 유통가능물량 정보는 증권플러스 비상장 서비스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모주 청약으로 배정받기 어렵다면, 해당 주식을 청약 전에도 미리 매수할 수 있나요?

네, 비상장 주식으로 청약 전에도 미리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청약 시 배정받을 수 있는 수량은 1~2주 정도로 소규모입니다. 하지만 한국예탁결제원에 예탁된 통일규격증권이라면 청약 전에도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로서 보유하고자 하는 수량을 미리 확보해둘 수 있습니다.


청약 전 비상장 주식은 증권플러스 비상장 APP에서 거래하실 수 있습니다.

IPO News 모아보기

  • logo
    키스트론, 코스닥 상장 위한 증권신고서 제출…주관사 신한투자證
    이데일리2025.03.31
  • logo
    이지스, '디지털트윈' 기술특례로 3분기 상장 도전
    전자신문2025.03.31
  • logo
    “5조 대어 온다” 무신사, 상장 주관사 선정 임박
    조선비즈2025.03.28
  • logo
    링크솔루션·지씨지놈 코스닥 상장 예심 통과
    뉴스웨이2025.03.27
  • logo
    에이유브랜즈, 일반 청약 경쟁률 969대 1… 4월 3일 코스닥 상장
    조선비즈2025.03.27
  • logo
    인투셀, "추가 계약 가시화"…'따블' 기대감에 공모가 웃도는 장외 시세
    머니투데이2025.03.26
  • logo
    ‘K뷰티 코스피 상장’ 달바글로벌, 증권신고서 제출… 몸값 8000억원
    조선비즈2025.03.26
  • logo
    바이오포트코리아, DB금융스팩과 합병 승인...5월 상장
    파이낸셜뉴스2025.03.25
  • logo
    바이오비쥬, 증권신고서 제출…"2분기 내 코스닥 상장"
    연합뉴스2025.03.25
  • logo
    삼성전자가 2대주주' 미코세라믹스, 거래소 요구에 상장 '고심'
    한국경제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