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플러스 비상장 로고
로그인
증권플러스 비상장 앱을 설치하고, 비상장 주식을 거래해보세요!

[콘텐츠] 자본시장 해설서 1편 '비상장 회사 정보 탐색하기'

24.03.06 13:10

image

‘일단 한 주라도 받았다 하면 00만 원 번다’는 공모주, 들어보셨나요?

최근 핫하다는 공모주는 비상장 주식을 거래하는 장외시장에서는 이미 ‘핫’하다못해 앗 뜨거운 종목이 많았더라구요. 이런 비상장 주식은 대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알게 되는걸까요?

1편에서는 비상장 회사의 정보를 탐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age

image

장외시장에서 가장 뚜렷한 대박의 냄새(?)란 비상장 기업이 상장할 조짐을 보일 때 즉,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일 겁니다.

정보가 제한된 회사 밖 투자자로서 뉴스 등을 통해 가장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이벤트로는 감사인 지정 신청과 대표 주관사 선정이 있습니다. 비상장 회사가 상장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할 일 중 하나거든요.

기업은 상장을 희망하는 해 또는 그 1년 전에 회계법인 등 감사인 지정을 신청해야 합니다. 또 1년 이상 걸리는 복잡다단한 상장 절차를 함께 할 대표 주관회사를 정하게 되죠.

image
@한국거래소 2024 유가증권시장 상장심사 가이드북

image

image

잠깐!

모든 비상장 회사가 상장을 하지는 않아요. 투자자 관점에서 상장은 투자 회수의 여러 방법 중 하나죠. 그러므로 비상장 주식 투자도 상장 주식과 비슷하게, 평소 펀더멘털이 우수한 기업들 정보를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러려면 나만의 투자 기준, 이 기준에 맞는지 판단할 정보가 필요하겠죠.

먼저 시장 규모와 확장성 즉, 우리가 투자할 산업을 공부해야 합니다. 아무리 제품이 뛰어나도 시장이 클 수 있는 규모가 제한적이라면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이지 않다고 봐야 해요.

비즈니스 모델도 중요합니다. 어떤 제품 · 서비스를 팔고, 어떻게 돈 벌고 있는지를 의미하죠. 이 과정에서 얼마나 돈을 쓰는지도 보고요. 이런 숫자는 재무제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어딜 가나 ‘사람’이 중요합니다. 조직이 작으면 한 사람의 영향이 더 크다고도 하잖아요. 벤처캐피탈 투자자는 특히 대표이사가 어떤 사람인지와 경영 철학, 과거 무슨 일을 했는지 유심히 보더군요. 핵심 인력 등 팀을 어떻게 구성했는지도 비중 높은 평가요소예요.

주주도 살펴봅니다. 경영 영향력을 보여주는 대표이사 지분율, 경영진 지분 현황, 외부 투자자 등을 보는 거예요. 어떤 벤처캐피탈이나 기업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는지도 참고할 수 있겠죠.

그럼 이런 정보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image

image

1) 다트(DART) 공시

비상장 회사라고 공시 의무가 없지는 않습니다.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비상장 법인이라도 50인 이상 투자자에게 증권을 모집 · 매출한 적 있거나, 외부 감사 대상 법인으로서 증권의 소유자가 500인 이상이면 사업보고서와 분기 · 반기 보고서를 제출해야 해요.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이면 유상증자, 합병 등의 결의 시 주요사항 보고서도 내야 하죠.

이런 기업들이 공시하는 곳이 전자공시시스템, 다트입니다. 보통 상장사 공시 출처로 많이 보셨을 텐데, 비상장사 공시도 찾아볼 수 있어요.

image

2) 벤처확인기업 공시

우리나라는 ‘벤처기업확인제도’를 운영합니다. 벤처기업협회가 전문 평가를 거쳐 법에서 정한 일정 요건을 갖춘 기업을 벤처기업으로 인증하고 지원하는 제도예요.

벤처기업 인증을 받으면 자금 조달과 세금, 인력 운영 등에서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어서 많은 스타트업이 도전합니다. 인증받은 기업이 정보를 공시하는 곳이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이에요. 업종과 주력 생산품 등 기업 개요와 재무 정보, 투자 정보, 벤처기업확인서의 유형과 진위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image
@벤처확인기업 공시

image

3) 증권사 리포트

보통 증권회사 리서치 센터는 상장사를 다루지만, 비상장사가 증권사의 먹거리로 떠오르면서 최근엔 비상장사 리포트도 늘고 있어요.

비상장사 리포트는 기업의 사업 스토리와 함께 기업이 속한 산업의 동향과 확장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좋은 수단입니다. 무미건조한 공시를 읽다가 목 막힐(!) 때 숫자 뒤 숨겨진 기업의 사업적 특징과 모멘텀, 경쟁사와 비교 등을 애널리스트 시각으로 들여다볼 수 있죠.

상장사 리포트는 정형화된 틀과 전문 용어 사용으로 보기 어렵다는 평가가 많은데, 요즘 나오는 비상장사 리포트는 초보 투자자가 읽기에도 무리 없고 흥미로운 콘텐츠가 많아요. 연말 연초에는 비상장사 투자 트렌드와 IPO 전망, 유망 섹터와 기업들을 모아 리포트를 내기도 하니 우리 같이 참고해 봐요.

image

4) 벤처투자회사 전자공시(DIVA)

벤처캐피탈 투자 동향에 관심 있으시다면 벤처투자회사 전자공시(DIVA) 가 유용해요.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된 벤처투자회사의 투자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에요.

DIVA는 매월 중기부에 보고되는 업무운용상황보고, 매년 감사보고서를 분석 집계한 자료를 토대로 공시해요. 분기별로 나오는 ‘Venture Capital Market Brief’ 보고서는 시장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 도움 됩니다.

image
@2023년 Venture Capital Market Brief

image

5) 스타트업 투자 통계 · 미디어

상장사와 비교해 비상장사 정보는 찾기가 쉽지 않죠. 다양한 채널에 더듬이(!)를 뻗고 있어야 해요. 벤처투자자와 스타트업 종사자들이 많이 참고하는 채널 몇 곳을 살펴보면요.

▲스타트업 투자 통계로는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The VC 등 ▲스타트업 DB로는 혁신의 숲, 넥스트 유니콘, 와디즈 스타트업 찾기 등 ▲스타트업 미디어로는 아웃스탠딩, 플래텀, EO 이오(유튜브) 등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스타트업계 능력자분들이 운영하는 뉴스레터와 오픈 채팅방도 많이 볼 수 있으니 기회가 있다면 참여해보세요.

image

image

1️⃣ 비상장사가 상장 준비에 들어갔음을 의미하는 이벤트를 주시하자. 예를 들어 대표 주관사 선정, 감사인 지정 신청 등

2️⃣ 평소 투자 유망 기업을 발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시장성과 확장성, 비즈니스 모델, 인력 구성 등을 살펴보자

3️⃣ 여러 채널에 더듬이를 뻗자. 다트(DART)와 벤처확인기업 공시, 증권사 리포트, 스타트업 전문 통계 및 미디어 등을 즐겨찾기 해두자.

image

출처 : ZUZU 블로그_선학개미를 위한 자본시장 해설서 1편

콘텐츠 제작 : 경제전파사 경제기자 출신 에디터가 만드는 고퀄리티 경제 콘텐츠

image

imag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