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플러스 비상장 로고
증권플러스 비상장 앱을 설치하고, 비상장 주식을 거래해보세요!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해외에서 먼저 알아본 의료기기 원석

삼성증권 정동희

24.08.02

  •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 Medtronic의 유통망을 통해 확대되는 내시경 지혈재 NexpowderTM와 관절염 통증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거듭날 NexsphereTM-F 보유.

  • 7/29~8/2 수요예측, 8/7~8/8 공모청약, 8/20 코스닥 상장 예정으로, 2023-2026E 연평균 성장률 150%과 공모 적용 멀티플(PER 18.76배) 고려 시 투자매력 보유 예상.

WHAT’S THE STORY?


기다려 온 알짜배기 의료기기 업체: 2024년 8월 20일 코스닥 상장 예정인 의료기기 업체. 고분자 원천 기술 바탕으로 개발한 내시경 지혈 분야의 치료재 NexpowderTM와 관절염 색전 통증 분야 치료재 NexsphereTM-F 보유. 2020년 매출 5.7억원에서 2023년 매출 48.7억원까지 연평균 104%로 성장, 그 중 수출 88%를 기록하며 글로벌 경쟁력 보유. 2024년 상반기 기준 매출 51.2억원으로 이미 전년도 매출 초과한 상황으로 2024년 온기 매출 120억원 및 2025년 흑자전환 목표(증권신고서상 추정 매출액 370억원, 영업이익 110억원).


Medtronic을 타고 확산될 글로벌 내시경 지혈재, NexpowderTM: 글로벌 내시경 시술 건수 2.3억건(2022년), 내시경으로 인한 출혈 지혈 건수는 미국에서만 연간 179만건(2022년)으로,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고 부작용이 많은 기존 지혈술(클리핑)을 대체할 기술 필요성 대두. NexpowderTM은 파우더 형태의 지혈재로 혈액뿐만 아니라 수분에도 겔(Gel)화가 일어나는 만큼 출혈 예방 목적으로도 사용 가능한 유일한 제품으로, 가격 또한 경쟁 제품 대비 40~70% 수준. 국내에서는 신의료기술 인증 획득하여 내시경 지혈 구제요법(2019), 1차 치료(2024년 1월)로 급여 등재(환자부담금 20%) 받았으며, 해외에서는 Medtronic(MDT, 시가총액 1,000억달러)이 한국/일본/중화권 제외한 글로벌 판권 보유. 2022년 FDA 허가 획득한 상부 위장관 지혈뿐만 아니라 지난 2024년 5월 하부 위장관 대상으로 적응증 추가 신청, 2H24 허가, 예방요법은 연말 허가 기대. 또한 지난 7월 7일 내시경 지혈 치료 표준치료재 등재 위해 시판 후 임상 시작, 등재 시 전체 내시경 출혈 시술에 대해 제품 사용 확대 가능.


미처 반영되지 못한 더 큰 잠재력, NexsphereTM-F: 당사 제품은 염증 부위 비정상 혈관을 막아 통증을 치료하는 젤라틴 소재의 미립구로, 비분해성 미립구인 경쟁 제품 대비 2~8시간 내에 체내 분해되어 정상 혈관 괴사 부작용이 낮은 장점 보유. 이번 상장의 주된 목적은 NexsphereTM-F의 임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자금조달(공모가 하단 기준 240억원 중 128억원)로, 7월 마지막 주 중 FDA IND 제출 예정. 2027년 FDA 허가 목표인 만큼 금번 공모가 산정에 NexsphereTM-F의 미국 매출 미반영된 상태로, 경쟁제품 보유한 Varian의 2020년 기타 사업부 매출(색전용 미립구 포함) $49M 기록한 만큼 향후 신사업 모멘텀 가능.


공모 개요: 공모 예정가 24,000원~29,000원(공모 규모 240억원~290억원), 예상 시가총액 1,922억원~2,322억원으로 상장 직후 유통 가능 주식수 356만주(45%). 오버행은 현재 1개월 83만주(10.32%), 3개월 3만주(0.37%), 1년 255만주(31.87%), 1년 혹은 1개월 미 구분 물량 104만주(12.93%). 2026년 추정 당기순이익 303억원에 기반하여 연할인율 20%, PER 18.76배, 공모할인율(30.6%~42.56%) 적용하여 공모가 산정.


재무 현황 및 리스크: 연간 영업비용 증권신고서(1Q24) 기준 유동비율 53.86%, 당좌비율 46.18%을 기록했으며 현금 및 현금성자산 47억원, 향후 매출 성장을 통해 개선 필요. 2024년 기준 연간 영업비용(매출원가+판관비) 150억원 규모로 2024년 상반기 기준 매출 51.2억원 달성한 만큼 2025년 흑자전환 가정은 합리적인 수준으로 판단.

관련 분야
# 의료기기
# 의료

본 리포트는 제휴사 <삼성증권>에서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내용으로,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하였으며,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은 투자판단의 참고사항이며, 본 내용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으며, 법적 책임 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리포트는 어떠한 경우에도 어떠한 형태로든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